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언론대학원

QUICK MENU
  • 로그인
  • 사이트맵
  • English

KU BDSI 빅데이터 사회문제 연구센터

 

KU BDSI 김성태 센터장

안녕하세요, 저는 빅데이터 사회문제 연구센터 센터장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김성태입니다. 지난 2012년에 시작한 연구 센터는 사회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자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연구를 선도하는 기관입니다. 지난 기간동안 빅데이터 분석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저희 센터는 사회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약자 지원, 환경 문제, 공공 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가짜 뉴스 탐지, 혐오 표현 감지, 정보 불평등 해소 등 AI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센터장으로서 저는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빅데이터 및 AI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하며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연구 기관, 정부 부처, 기업 등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를 정책 입안자, 학계, 시민 사회 등에 공유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연구 환경 개선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저희 센터는 빅데이터 분석과 AI 기술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센터장으로서 센터의 발전과 사회 기여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성태 드림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KU BDSI 비전 및 목표

다양하고 대규모의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는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빅데이터는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기도 하다.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산하 <빅데이터 사회문제 연구센터, KURCBDSI>는 한국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이슈를 빅데이터 분석 접근을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 방안에 대한 의미있는 제안을 하고자 2012년 5월 설립되었다.

본 연구센터는 사회문제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 주제를 언론과 소셜, 정책이라는 세 가지 분석범위 안에서 상호 비교하며, 궁극적으로 분석결과를 통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부 연구자문진을 구성하는 등 연구내용의 최적화를 위해 유연하고 탄력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더불어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해 외부 빅데이터 분석 전문기관과 MOU를 통해 산학협력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회문제 현상 진단,사회문제 이슈 분석,사회문제 트렌드 예측, 미래지향적 방향 제시

  • step1 사회문제 현상 진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종합적 현상 파악
    • 국내외 전문자료(보고서,정책동향 및 학술저널)분석
    • 언론보도 분석
    • 소셜텍스트 분석
  • step2 사회문제 이슈 분석:사회 주요 주체별 주요 이슈 도출
    • 정량분석을 통한 패턴 분석
    • 주요 키워드 정리
    • 각 영역별 기후변화 주요 이슈 분석
  • step3 사회문제 트렌드 예측:정성적 심화 분석을 통한 주요 트렌드 탐색
    • 정성적 분석 심화 단계
    • 전문가 활용을 통한 분석결과 의미 구성
    • 주요 트렌드 탐색
  • step4 미래지향적 방향 제시:사회문제 관련 메가트렌드 발굴
    • 사회문제 메가트렌드 도출
    • 사회문제 대응을 위한 해법 제시
    • 미래 정책 인사이트 제안

사회이슈 발굴,전문가 활용 및 의미 분석,빅데이터 정성 분석,빅데이터 정량 분석

 



KU BDSI의 분석 접근 체계

다양한 AI 및 빅데이터 분석기반의 알고리즘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분석단계를 추구한다.

The stages are:

1. Data Acquisition: Identifying and collecting relevant data sources from various formats.
2. Data Preprocessing: Cleaning, transforming, and preparing the data for analysis.
3. Feature Engineering: Extracting relevant features from the data that can be used by AI models for prediction or classification.
4. Model Selection & Training: Choosing and training an appropriate AI model on the prepared data.
5. Model Evaluation: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the trained model.
6. Model Deployment & Monitoring: Integrating and monitoring the trained model in a real-world environment.
7. Insights & Actionable Results: Analyzing the model's outputs to generate insights for decision-making.




다양한 비정형 소셜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단계, 특히 연구센터에서는 정량적 방법과 함께 정성적인 데이터 분석도 융합한 방법적 Triangulation 을 추구한다.



키워드선정,데이터수집,데이터정제,형태소분석,데이터정량분석,테이터정성분석,전문가자문,결과도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문제를 밝혀내고 새로운 이슈를 발굴하기 위해 본 연구센터는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STAR(Social Text Analysis Research)를 활용해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정량분석하고, 특화된 텍스트분석전문가 그룹(TAT: Text Analysis Team)의 정성분석을 동시 운영하고 있다. 통합적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문제 관련 전문가 자문 등을 활용해 분석결과에 대한 의미화 과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결과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KU RCBDSI의 분석전략

빅데이터 사회문제 연구센터는 녹색기술센터, 헌법재판소, 한국토지주택공사 등과 관련된 사회문제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미래지향적 이슈를 도출한 바 있다. 향후 우리나라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빅데이터를 활용해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분석 전략을 설정하였다.  



분석전략 1. 우리 사회가 당면한 다양한 이슈와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통시적 · 공시적 방법으로 분석한다.



 
-주요 이슈에 대한 대용량의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단위 시간의 변화 또는 특정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빠르고 객관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주요 사안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특징을 상황적 맥락에서 비교 분석가능하며(과거 데이터의 현재화), 연속적인 시간의 흐름 안에서 이슈 간 상호 연관성과 핵심 트렌드를 파악한다.    



분석전략 2. 주요 이슈에 대한 정형/비정형 데이터, 공공/소셜 데이터, 국내외 트랜드 데이터, 기업 내,외부 데이터를 다차원적인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수용자의 목소리를 듣고, 공공부문에의 적용 효용을 높인다.



-빅데이터는 정책의 궁극적 수혜자인 국민의 실질적인 메시지에 실시간 접근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트위터, 커뮤니티, 블로그, 포털 등 소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고 진단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해법 마련을 위한 활용도가 높다.
-결과적으로 소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주요 사안에 대한 일반의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정책 등의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다.

 



KU BDSI의 최근 주요 프로젝트

- 데이톨로지: AI 메타버스 시대를 읽는 데이터인문학
- 브랜드 마케팅 소비자 구매 여정 분석 알고리즘 개발(대홍기획)
- 대한민국 사회 주요 갈등 이슈 도출 시스템 및 알고리즘 개발(대통합위원회)
- 기후재난 빅데이터 분석 및 주요 언론 보도 분석 (녹색기술원)
- 아파트 가격 예측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제안
- 국민 민원 빅데이터분석 알고리즘 구축 (광주시 등)
- 빅카인즈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제안 (한국언론진흥재단)

- 기타 20개 이상 연구 프로젝트 진행

(부설)


EIS LAB (Emotional Intelligence & Strategy) 감성지능전략 LAB

EIS 감성지능전략 랩은 인간의 감성 지능(EI)이 개인과 조직의 성과, 웰빙, 그리고 사회적 영향력에 미치는 심층적인 영향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연구 분야 및 분석 방법:

1. 감성 지능 측정 및 개발:
    o 분석 방법: 뇌파 (EEG), fMRI, 설문 조사, 행동 실험, 심리 검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감성 지능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측정
    o 개발: 측정 결과를 토대로 개인별 맞춤형 감성 지능 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훈련 효과를 검증. 특히, AI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의 감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 모델 구축. 

2. 감성 지능과 리더십:
    o 분석 방법: 리더십 유형 분석, 360도 다면 평가, 감성 지능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리더의 감성 지능과 리더십 효과성 간의 관계 분석
    o 모델 개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감성 지능 기반 리더십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리더의 감성 지능 역량 강화 

3. 감성 지능과 조직 문화:
    o 분석 방법: 조직 문화 설문 조사, 인터뷰, 텍스트 마이닝 등을 통해 감성 지능이 조직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특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직 내 감성 지능 수준과 조직 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조직 문화 개선을 위한 전략을 제시.

4. 감성 지능과 의사 결정:
    o 분석 방법: 실험 연구, 시뮬레이션, 뇌 영상 촬영 등을 통해 감성 지능이 개인 및 조직의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o 전략 개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성 지능을 활용한 효과적인 의사 결정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조직의 의사 결정 능력 향상 지원

5. 감성 지능과 협상:
    o 분석 방법: 협상 시뮬레이션, 협상 결과 분석, 감성 지능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감성 지능이 협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o 전략 개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감성 지능을 활용한 협상 전략을 개발하고, 협상 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6. 감성 지능과 AI:
    o 분석 방법: AI 알고리즘 분석, 인간-AI 상호작용 실험, 설문 조사 등을 통해 AI 시대에 필요한 감성 지능 역량을 탐구하고, AI와 인간의 효과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

EIS 랩의 역할:

• 학술 연구: 감성 지능 관련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학술 논문 발표,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연구 결과를 공유.
• 컨설팅: 개인 및 조직의 감성 지능 수준 진단 및 맞춤형 컨설팅 제공.
• 교육: 감성 지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
• 산학 협력: 기업, 정부 기관 등과 협력하여 감성 지능 연구 결과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

EIS 감성지능전략 랩은 인간 중심의 미래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끊임없는 연구와 혁신을 통해 감성 지능 분야의 발전을 선도하고,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소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KU RCBDSI의 외부 협력기관 (MOU)
 
(주)Data Marketing Korea (빅데이터 마케팅 분석)
(주)e2on (빅데이터 전문 분석업체)
(주)롯데 엑셀러레이터 Lotte Accelerator (IT 스타트업 지원)
(주)발크(BALC) (디지털마케팅 Agency)
(주)DYB 최선어학원 AI 교육플랫폼
(미)Auburn 대학교 SOLIU 연구센터
(주)유니크미디어(영상콘텐츠 제작)
(주)한국콘텐츠컨설팅진흥원



KU BDSI/EIS 연구원 및 연락처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 미디어관 406호
전화번호: 02) 3290-2262

책임연구원: 김성태(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BDSI 연구간사
박선영 간사(이메일:lovelysun17@korea.ac.kr)
김세영 간사(이메일:olmlm@korea.ac.kr)
박소민 간사(이메일:ssom@korea.ac.kr)

공동 외부연구원:
천명기(미디어학박사, 미 Auburn Univ. 교수. 대학원장)
김선우(미디어학박사, 미 N. Arizona Univ. 교수)
김여진(미디어학박사, 미 C. Connecticut State Univ. 교수)
김선미(미디어학박사, 고려대학교 강사)
이진형(공학박사, DMK 대표)
김행은(미디어학석사, 이학박사, 방송인, 성신여대 강사)
한정혜 (미디어학석사, 북그림 유튜버, Contents Creator)
송우남 (Visual Artist, Contents Creator)

연구원:
김동미(미디어학 박사과정)
석지연(미디어학 박사과정)
김재규(미디어학 박사과정)
이혁진(미디어학 박사과정)
김찬동(미디어학 석사과정)
이영진(미디어학 석사과정)

(update: 2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