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사회문제 연구센터
빅데이터 사회문제 연구센터 비전 및 목표
다양하고 대규모의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빠른 속도록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는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빅데이터는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산하 <빅데이터 사회문제 연구센터, KURCBDSI>는 한국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이슈를 빅데이터 분석 접근을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 방안에 대한 의미있는 제안을 하고자 2015년 5월 설립되었습니다.
본 연구센터는 사회문제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 주제를 언론과 소셜, 정책이라는 세 가지 분석범위 안에서 상호 비교하며, 궁극적으로 분석결과를 통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외부 연구자문진을 구성하는 등 연구내용의 최적화를 위해 유연하고 탄력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해 외부 빅데이터 분석 전문기관과 MOU를 통해 산학협력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step1 사회문제 현상 진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종합적 현상 파악
- 국내외 전문자료(보고서,정책동향 및 학술저널)분석
- 언론보도 분석
- 소셜텍스트 분석
-
step2 사회문제 이슈 분석:사회 주요 주체별 주요 이슈 도출
- 정량분석을 통한 패턴 분석
- 주요 키워드 정리
- 각 영역별 기후변화 주요 이슈 분석
-
step3 사회문제 트렌드 예측:정성적 심화 분석을 통한 주요 트렌드 탐색
- 정성적 분석 심화 단계
- 전문가 활용을 통한 분석결과 의미 구성
- 주요 트렌드 탐색
-
step4 미래지향적 방향 제시:사회문제 관련 메가트렌드 발굴
- 사회문제 메가트렌드 도출
- 사회문제 대응을 위한 해법 제시
- 미래 정책 인사이트 제안
KU RCBDSI의 분석 접근 체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문제를 밝혀내고 새로운 이슈를 발굴하기 위해 본 연구센터는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STAR(Social Text Analysis Research)를 활용해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정량분석하고, 특화된 텍스트분석전문가 그룹(TAT: Text Analysis Team)의 정성분석을 동시 운영하고 있습니다. 통합적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문제 관련 전문가 자문 등을 활용해 분석결과에 대한 의미화 과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결과의 전문성을 높입니다.
KU RCBDSI의 분석전략
빅데이터 사회문제 연구센터는 녹색기술센터, 헌법재판소, 한국토지주택공사 등과 관련된 사회문제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미래지향적 이슈를 도출한 바 있습니다. 향후 우리나라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빅데이터를 활용해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분석 전략을 설정했습니다.
분석전략 1. 우리 사회가 당면한 과제에 대한 다양하고 광범위한 정보를
통시적 · 공시적 방법으로 분석한다.
-주요 이슈에 대한 대용량의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단위 시간의 변화 또는 특정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빠르고 객관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주요 사안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특징을 상황적 맥락에서 비교 분석가능하며(과거 데이터의 현재화), 연속적인 시간의 흐름 안에서 이슈 간 상호 연관성과 핵심 트렌드를 파악합니다.
분석전략 2. 주요 이슈에 대한 소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목소리를 수용하고
공공부문에의 적용 효용을 높인다.
-빅데이터는 정책의 궁극적 수혜자인 국민의 실질적인 메시지에 실시간 접근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트위터, 커뮤니티, 블로그, 포털 등 소셜텍스트 분석을 통해 대중의 인식을 파악하고 진단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해법 마련을 위한 활용도가 높습니다.
-결과적으로 소셜텍스트 분석을 통해 주요 사안에 대한 일반의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정책 등의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KU RCBDSI의 주요 연구결과물
- 기후변화 빅데이터분석 및 이슈도출
- 5대 재난재해 언론보도 분석
- 기후변화 메가트렌드 발굴
-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LH 민원 분석
KU RCBDSI의 외부 협력기관 (MOU)
(주)e2on (빅데이터 전문 분석업체)
(주) 롯데 엑셀러레이터 Lotte Accelerator (IT 스타트업 지원)
KU RCBDSI 위치 및 연락처
서울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 미디어관 303호
전화번호: 02) 3290-1637
연락처: 김선우 간사(이메일:commsci@hot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