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과정
2023년 미디어학과 전공과목 목록
신 교과과정 (2019년도 9월 시행) |
구 교과과정 (~2019년도 8월까지) |
||||
---|---|---|---|---|---|
학수번호 | 이수구분 | 교과목명 |
개편내용 (폐지, 신설, 유사)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MAC501 |
기초공통 |
커뮤니케이션이론 <석/박사과정 필수> |
유사 | JMC501 |
커뮤니케이션이론 <석/박사과정 필수> |
MAC503 |
기초공통 |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석/박사과정 필수> |
유사 | JMC503 |
커뮤니케이션방법론 <석/박사과정 필수> |
MAC508 |
기초공통 |
미디어철학연구 | 유사 | JMC509 | 언론사상 |
JMC577 | 포스트모더니즘과미디어 | ||||
JMC511 | 비판커뮤니케이션 | ||||
MAC509 |
기초공통 |
미디어역사연구 | 유사 | JMC509 | 언론사상 |
JMC577 | 언론사연구 | ||||
MAC510 |
기초공통 |
미디어법 | 유사 | JMC511 | 언론윤리법제론 |
MAC515 |
기초공통 |
미디어질적연구방법론 | 유사 | JMC907 | 콘텐츠와스토리텔링 |
MAC516 |
기초공통 |
미디어연구논문작성법 | 유사 | JMC825 | 사회과학연구논문작성법 |
MAC522 |
기초공통 |
커뮤니케이션이론세미나 <박사과정 필수> |
유사 | JMC821 |
커뮤니케이션이론세미나 <박사과정 필수> |
MAC524 | 기초공통 |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세미나 <박사과정 필수> |
유사 | JMC822 |
커뮤니케이션방법론세미나 <박사과정 필수> |
MAC531 | 전공 | 미디어와젠더 | 유사 | JMC552 | 여성과미디어 |
MAC532 | 전공 | 미디어와다문화사회 | 유사 | JMC553 | 미디어와다문화사회 |
MAC538 | 전공 | 미디어와민주주의 | 유사 | JMC583 | 미디어과사회변동 |
JMC618 | 미디어와여론 | ||||
MAC539 | 전공 | 정치커뮤니케이션 | 유사 | JMC703 | 정치커뮤니케이션 |
MAC545 | 전공 | 디지털저널리즘 | 유사 | JMC555 | 방송뉴스의이론과실제 |
JMC556 | 온라인저널리즘 | ||||
MAC546 | 전공 | 저널리즘론 | 유사 | JMC580 | 저널리즘문헌연구 |
MAC552 | 전공 | 미디어정치세미나 | 유사 | JMC812 | 언론정보세미나 |
MAC553 | 전공 | 저널리즘세미나 | 유사 | JMC554 | 저널리즘세미나 |
MAC561 | 전공 | 미디어효과론 | 유사 | JMC581 | 미디어효과론 |
MAC562 | 전공 | 설득커뮤니케이션 | 유사 | JMC619 | 설득커뮤니케이션 |
MAC563 | 전공 | 대인커뮤니케이션 | 유사 | JMC616 | 인간커뮤니케이션 |
MAC564 | 전공 | 문화간커뮤니케이션 | 유사 | JMC824 | 문화간커뮤니케이션 |
MAC568 | 전공 | 광고론 | 유사 | JMC585 | 광고론 |
MAC569 | 전공 | 소비자행동 | 유사 | JMC586 | 소비자행동과전략커뮤니케이션 |
MAC570 | 전공 | 광고미디어기획 | 유사 | JMC589 | 광고와미디어기획 |
MAC571 | 전공 | 엔터테인먼트와전략커뮤니케이션 | 유사 | JMC571 | 엔터테인먼트와전략커뮤니케이션 |
MAC575 | 전공 | PR론 | 유사 | JMC614 | PR론 |
MAC576 | 전공 | 헬스커뮤니케이션 | 유사 | JMC574 | 헬스커뮤니케이션 |
MAC577 | 전공 | 쟁점관리와위기커뮤니케이션 | 유사 | JMC573 | 쟁점관리와위기커뮤니케이션 |
MAC582 | 전공 | 광고세미나 | 유사 | JMC595 | 광고세미나 |
MAC583 | 전공 | PR세미나 | 유사 | JMC572 | PR세미나 |
MAC601 | 전공 | 미디어경제학 | 유사 | JMC558 | 미디어경제학 |
MAC602 | 전공 | 미디어경영학 | 유사 | JMC557 | 미디어경영학 |
MAC608 | 전공 | 뉴미디어론 | 유사 | JMC617 | 뉴미디어론 |
MAC609 | 전공 | 이머징미디어 | 유사 | JMC560 | 모바일미디어 |
MAC610 | 전공 | 엔터테인먼트산업론 | 유사 | JMC902 | 엔터테인먼트산업론 |
MAC615 | 전공 | 미디어앙트레프레너십 | 신설 | ||
MAC616 | 전공 | 미디어정책과규제 | 유사 | JMC587 | 미디어정책과규제 |
MAC622 | 전공 | 미디어산업세미나 | 유사 | JMC559 | 정보통신세미나 |
MAC631 | 전공 | 문화연구역사와이론 | 유사 | JMC593 | 비판문화연구 |
MAC632 | 전공 | 문화연구의쟁점들 | 유사 | JMC582 | 미디어와문화이론 |
MAC633 | 전공 | 문화연구와생산자 | 유사 | JMC622 | 방송제작이론 |
MAC634 | 전공 | 문화연구와수용자 | 유사 | JMC568 | 문화연구와수용자 |
MAC638 | 전공 | 영화론 | 유사 | JMC561 | 대중영화론 |
MAC639 | 전공 | 다큐멘터리론 | 유사 | JMC564 | 다큐멘터리론 |
MAC640 | 전공 | 방송미디어론 | 유사 | JMC578 | 방송론 |
MAC641 | 전공 | 영상문화콘텐츠비평 | 유사 | JMC588 | 영상미학론 |
MAC645 | 전공 | 엔터테인먼트와미디어 | 유사 | JMC901 | 엔터테인먼트와미디어 |
MAC646 | 전공 | 스포츠와미디어 | 신설 | ||
MAC647 | 전공 | 글로벌커뮤니케이션과한류 | 유사 | JMC602 | 국제커뮤니케이션 |
MAC652 | 전공 | 영상미디어세미나 | 유사 | JMC566 | 영화세미나 |
JMC594 | 방송세미나 | ||||
MAC653 | 전공 | 엔터테인먼트와미디어세미나 | 유사 | JMC910 | 엔터테인먼트특강I |
MAC661 | 전공 | 커뮤니케이션통계분석I | 유사 | JMC579 | 커뮤니케이션데이터분석법I |
MAC662 | 전공 | 커뮤니케이션통계분석II | 유사 | JMC551 | 커뮤니케이션데이터분석법II |
MAC668 | 전공 | 빅데이터의이해와적용 | 유사 | JMC827 | 빅데이터의이해와적용 |
MAC669 | 전공 | 미디어데이터사이언스 | 신설 | ||
MAC670 | 전공 | 미디어애널리틱스프로그래밍 | 신설 | ||
MAC675 | 전공 | 미디어데이터마이닝 | 신설 | ||
MAC682 | 전공 | 미디어데이터분석세미나 | 유사 | JMC826 | 데이터분석특강 |
※ 학수번호 변경전, 변경 후 과목은 유사과목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중복수강 불가합니다. 중복수강시 학점으로 인정 받지 못합니다.
예) 2019-1학기 JMC501 커뮤니케이션이론 이수자가 2019-2학기 MAC501 커뮤니케이션이론 이수시 중복수강으로 MAC501 커뮤니케이션이론은 학점인정 받지 못함.
기본공통과목
MAC 501 |
커뮤니케이션 이론 (Communication Theories) |
3 | 이 강의는 커뮤니케이션학의 기본적이며 개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개설된다. 무엇보다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대상 영역을 정의하고, 기존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가설과 이론적 모델에 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한다. 나아가 21세기 언론과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기술하고 예측하며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 개발에 관해 논의한다. |
---|---|---|---|
MAC 503 |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
3 | 사회연구의 기초를 학습함으로써 철학적 패러다임, 이론, 연구방법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관되는지 이해한다. 조사연구, 실험, 내용분석 등 대표적 양적 연구방법과 민속지학, 현상학, 근거이론, 사례분석 등 대표적 질적 연구방법의 기본 원리와 절차를 이해하고 경험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소양을 함양한다. |
MAC 508 |
미디어철학연구 (Media Philosophy) |
3 | 미디어와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를 위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접근을 시도한다. 존재론적 접근을 위한 맥루한과 재매개 이론, 그리고 인식론적 접근을 위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사회철학을 논의의 출발로 한다. 논의는 현대사회와 탈현대사회의 인간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가치 논쟁에 대한 비판 사회이론적 탐구로 연결된다. |
MAC 509 |
미디어역사연구 (Media History) |
3 | 역사학의 관점에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제반 영역을 조명한다. 미디어 테크놀로지 발달의 사회사적 조망을 통해 역사 속의 미디어의 현황을 이해한다. 제도사적 접근과 미시사적 접근을 통해 미디어 역사의 사례연구를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
MAC 510 |
미디어법 (Media Laws) |
3 | 국내외 실정법을 토대로, 언론의 자유, 명예훼손, 프라이버시, 저작권, 알 권리와 잊혀질 권리 등 언론 보도와 관련된 법적 쟁점들과 윤리적 딜레마를 논의하고, 관련 판례들을 분석한다. |
MAC 515 |
미디어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edia Studies) |
3 |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철학적, 역사적, 문학적, 인류학적 연구 방법의 인식론과 실행 방안을 강의한다. 이를 위해 역사 문헌연구, 미시역사 연구, 텍스트 분석, 담론 분석, 민속지학, 심층 인터뷰, 심층그룹 인터뷰 등의 방법론을 이해하고, 이들 방법론을 활용하여 학술적 글쓰기 능력을 함양한다. |
MAC 516 |
미디어연구논문작성법 (Media Research Paper Writing) |
3 |
논문작성법 수업은 커뮤니케이션 관련 분야의 연구에 대한 내용들로 구성되었다. 이 수업은 학생들의 연구 계획에 대해서 자유롭게 토론하고, 논문의 방향을 잡을 수 있는 시도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1) 연구 주제를 선택하고 그 주제에 맞춰 자신의 아이디어를 개발해나가는 법, 2)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 주제와 아이디어를 검토해나가는 법, 3) 자신의 관심 연구 분야에 맞는 연구 종류를 탐색하는 법, 마지막으로 4) 논문 원고 준비하는 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
MAC 522 |
커뮤니케이션이론세미나(Communication Theories Seminar) |
3 |
이 강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심화된 학습과 토론을 목적으로 한 박사과정의 필수과목이다. 수업 참여자는 본인의 연구문제와 관련한 주요 개념과 이론적 모델을 정립해야 하며, 이와 관련해 연구 방법론을 혁신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강의를 통해 수강자는 박사학위 논문의 이론적 체계를 구성한다. 새로운 이론개발에 관심 있는 석사생도 수강할 수 있다. |
MAC 524 |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세미나(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Seminar) | 3 |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에 대한 심화된 학습과 리서치를 목적으로 박사과정 필수과목으로 개설한다. 예를 들어, 한 학기 동안 내용분석 연구방법에 집중해 학습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논문을 완성해볼 수 있다. |
전공과목
[ 미디어와 사회 ]
MAC 531 |
미디어와젠더 (Media and Gender) |
3 |
미디어와 젠더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시각을 분석하고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 젠더 문제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
---|---|---|---|
MAC 532 |
미디어와다문화사회 (Media and Multicultural Society) |
3 |
다문화사회에서 차이를 영속화시키는 미디어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이 평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미디어의 역할을 논의한다. |
MAC 538 |
미디어와민주주의 (Media and Democracy) |
3 |
다양한 민주주의 이론과 모델을 바탕으로 미디어의 규범적 역할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특히 숙의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의 철학적 기초와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민주주의를 심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한다. |
MAC 539 |
정치커뮤니케이션 (Political Communication) |
3 |
정치커뮤니케이션 분야의 핵심적인 이론적, 방법론적 접근들을 조망하고 주요 연구 주제들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커뮤니케이션학, 심리학, 정치학, 사회학 등을 망라한 학제적 접근을 바탕으로 개인의 정치행동 메커니즘을 이해하며 이에 작용하는 미디어의 효과를 분석한다. |
MAC 545 |
디지털저널리즘 (Digital Journalism) |
3 |
인터넷 저널리즘을 넘어 새로운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 모바일 시대의 저널리즘에 관해 종합적으로 토론한다. 국내외에서 발견되는 디지털 모바일 저널리즘의 사례를 통해 저널리즘의 역할과 의미를 재해석한다. |
MAC 546 |
저널리즘론 (Literature in Journalism) |
3 |
기자와 뉴스를 다룬 다양한 문헌을 읽으면서 저널리즘의 원칙과 규범을 알아보고, 저널리즘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론을 배운다. 뉴스와 사회의 관계, 저널리즘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이론화하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
MAC 552 |
미디어정치세미나 (Media & Politics Seminar) |
3 |
미디어의 정치적 역할과 영향력에 관련된 최근의 이론적, 실천적 쟁점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양적, 질적, 혹은 혼합적 연구방법을 통해 관련 현상에 대한 독창적 연구프로젝트를 설계, 수행한다. |
MAC 553 |
저널리즘세미나 (Journalism Seminar) |
3 | 뉴스와 관련한 국내외의 현안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여 저널리즘의 새로운 변화와 가능성을 찾아내고 사회적 의미를 토론한다. 학생들은 현안 중심으로 각자 사례연구를 하거나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 미디어와 개인 ]
MAC 561 |
미디어효과론 (Theories of Media Effects) |
3 | 커뮤니케이션학,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이론적 접근과 모델을 통해 사회, 집단, 개인 수준에서 나타나는 미디어 효과를 설명하고 분석한다. 포괄적이고 다차원적 개념으로서 미디어 효과를 이해하며, 진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효과 관련 이슈들을 탐색한다. |
---|---|---|---|
MAC 562 |
설득커뮤니케이션 (Persuasive Communication) |
3 |
설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원, 메시지, 매체, 그리고 수용자 요인과 관련된 다양한 고전 및 현대 이론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부터 매스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설득 현상을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실제 설득과 관련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다. |
MAC 563 |
대인커뮤니케이션 (Interpersonal Communication) |
3 | 인간관계의 시작, 발전, 종료가 되는 단계들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대한 이론과 연구결과를 학습한다. 주요 이론들을 살펴본 후,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 (예를 들면, 사랑, 갈등, 메시지 작성과 해석) 에 대한 분석을 한다. |
MAC 564 |
문화간커뮤니케이션(Intercultural Communication) |
3 | 다양한 문화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소통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수업이다.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이론과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문화의 정의와 영향, 정체성, 언어/비언어적 소통, 언어 장벽, 갈등, 스테레오타입 등의 주제를 다룬다. |
MAC 568 |
광고론 (Theories of Advertising) |
3 |
광고의 기본 개념, 주요 이론과 실제를 현대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미디어 환경과 관련하여 학습한다. 광고기획, 제작, 조사, 미디어전략 등 광고의 실무과정 전반과 광고학의 기본원리를 이해하여 광고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특히 광고효과의 메커니즘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해하는 이론적 접근을 연구하며, 광고의 사회적, 문화적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
MAC 569 |
소비자행동 (Consumer Behavior) |
3 |
소비자행동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개념과 틀을 학습한다. 심리학적 시각에서 소비자의 동기, 정보 처리, 가족이나 집단 또는 문화의 영향, 구전 커뮤니케이션 등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주요개념과 이론을 학습한다. 나아가 사회학 등 인접학문의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여 소비자행동의 맥락과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실제 상황에서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MAC 570 |
광고미디어기획 (Advertising Media Planning) |
3 |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광고는 TV, 신문, 잡지, 라디오 등 레거시 미디어뿐 아니라 인터넷, 모바일 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아우르며 다각도에서 효과적으로 목표소비자에게 다가간다. 광고에서 활용하는 다양한 미디어의 특성, 광고와 미디어의 관계, 미디어 전략의 수립, 실행과 함께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는 광고효과의 측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주요 개념과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실무적 함의를 논의한다. |
MAC 571 |
엔터테인먼트와전략커뮤니케이션(Entertainment and Strategic Communication) |
3 |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소비하고 생산하는 행위의 원인과 결과를 이론적으로 학습한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이용하는 문화적, 사회적,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그러한 행위가 유발하는 효과를 학습한다. 이를 통해 전략적 캠페인에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다. |
MAC 575 |
PR론 (Public Relations Theories) |
3 |
PR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이론과 주요 개념을 학습하고 새로운 관점을 발굴해 이론적 토대를 다진다. 학습한 이론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현상을 이해하는 실무적 능력을 키워, 실제 조직 PR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과 문제 해결을 모색해본다. 관련 리서치를 통해 PR커뮤니케이션 이론 확장에도 기여한다. |
MAC 576 |
헬스커뮤니케이션 (Health Communication) |
3 |
뉴스, 광고, 오락물과 같은 미디어에서 헬스 관련 이슈를 어떻게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 메시지가 이용자의 건강에 대한 인지,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다. 미디어가 구성하는 현실과 미디어 이용자가 인지하는 주관적 현실을 이해함으로써, 헬스 캠페인 관련 실무적 전략을 논의 한다. |
MAC 577 |
쟁점관리와위기커뮤니케이션(Issues management and Crisis Communication) |
3 |
기업을 비롯한 조직의 위기 커뮤니케이션과 쟁점관리에 대한 기본 이론들과 관점을 학습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제시한다. 뉴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위기 및 갈등의 양태와 이에 대응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사례 분석하고, 이러한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공중의 인지,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공중 중심의 효과적인 위기 및 쟁점 커뮤니케이션 전략 방향을 수립해본다. |
MAC 582 |
광고세미나 (Advertising Seminar) |
3 |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와 미디어 환경은 광고에 대한 새로운 주제와 이론의 필요성을 야기한다. 광고와 관련된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해당 영역의 현상과 이론을 고찰하고 심층적으로 분석, 논의한다. 특히 해당 주제와 관련된 최근 이론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토의를 통해 학술적, 실무적 이해를 발전시킨다. |
MAC 583 |
PR세미나(Public Relations Seminar) |
3 |
PR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특정 주제를 선정해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특히 최근의 이론을 고찰하고 관련 리서치를 수행해, PR커뮤니케이션 이론 발전과 실무적 문제 해결에 유용한 틀을 정립해본다. |
[ 미디어와 산업 ]
MAC 601 |
미디어경제학 (Media Economics) |
3 |
미디어 기업과 산업, 정책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미시경제학과 산업조직론, 독점규제이론 등 경제학 방법론을 원용하여 미디어산업을 경제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
---|---|---|---|
MAC 602 |
미디어경영학 (Media Business) |
3 |
본 강의는 경영의 기본개념과 이론, 더불어 최신 미디어 경영사례를 소개한다.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미디어 경영사례를 분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미디어 산업에 대한 통찰력을 가질 수 있다. |
MAC 608 |
뉴미디어론 (New Media) |
3 |
본 강의는 미디어 영역에서 디지털기술 기반의 혁신사례와 연구를 소개함으로써 뉴미디어의 개념과 그 영향에 대해 소개한다. 학생들은 어떻게 디지털커뮤니케이션기술이 개인의 일상과 비즈니스, 사회를 변화시키는 지를 학습한다. |
MAC 609 |
이머징미디어 (Emerging Media) |
3 |
아직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를 잡지 못했지만 파과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미디어 영역으로 포섭될 가능성이 높은 혁신적인 미디어(예: 가상현실, 인공지능 알고리즘, 로봇, 스마트카, 스마트홈 등)를 개관하고 기술적인 가능성과 함께 시장 잠재력과 사회, 문화, 제도적인 쟁점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
MAC 610 |
엔터테인먼트산업론(Entertainment Industry) |
3 |
미디어 생태계의 핵심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한 다양한 학제적인 연구를 개관하고 새로운 연구의제를 개발한다. 특히 음악, 영화, 방송,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여러 영역을 다루면서 관련 연구를 학습하고 글로벌 생태계 관점에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진화와 융합을 분석한다. |
MAC 615 |
미디어 앙트레프레너십 (Media Entrepreneurship) |
3 |
글로벌 디지털 미디어생태계에서 앙트레프레너십(기업가정신)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변화하는 기술, 시장, 이용자의 니즈에 대응하여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탐색하고 개발하는 앙트레프레너(기업가)의 역할을 이론으로 규명하고 실제적인 사례들을 학습한다. |
MAC 616 |
미디어정책과규제 (Media Policy and Regulation) |
3 |
미디어정책과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논쟁을 검토하고, 진입규제, 소유·겸영규제, 내용·편성·광고규제, 경쟁규제 등 국내외 미디어 관련 시장에서 발생하는 정부 규제 현안 과 정책 이슈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바람직한 미디어정책·규제 방향을 설계한다. |
MAC 622 |
미디어산업세미나 (Media Industries Seminar) |
3 |
미디어 산업과 관련된 현안과 특정 주제를 선정해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세미나 수업으로, 각 학기마다 다루는 주제는 다를 수 있다. |
[ 미디어 문화콘텐츠 ]
MAC 631 |
문화연구역사와이론 (History and Theories of Cultural Studies) |
3 |
1960년대 이후 문화연구의 역사적 근원과 핵심 개념들, 그리고 역사적 전통이 다루어진다. 이어서 문화연구의 핵심 주제들이 주로 개념과 이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토론된다. |
---|---|---|---|
MAC 632 |
문화연구의쟁점들 (Topics in Cultural Studies) |
3 |
미디어와 문화연구와 관련된 주요 연구영역을 소개하고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 현상의 의미를 분석한다. |
MAC 633 |
문화연구와생산자 (Cultural Studies’ Approaches to Media Production) |
3 |
문화 영역 안에서 생산자의 역할을 고민하는 심화 수업이다. 사회, 문화, 경제적인 입장에서 각 생산자들이 가지고 있는 위치와 이들이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 가지는 의미를 함께 탐구한다. 기존의 생산자에서 현대의 생비자에 이르는 다양한 소재를 대상으로 토론하는 이론 세미나 수업이다. |
MAC 634 |
문화연구와수용자 (Cultural Studies’ Approaches to the Audience Theories) |
3 |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미디어와 대중문화 수용자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다양한 방법론을 통하여 미디어와 문화의 소비, 사용, 해석하는 수용자들을 분석한다. |
MAC 638 |
영화론 (Film Theories) |
3 |
현대 영화의 역사와 이론을 조감한다. 영화 테크놀로지의 시작과 발전, 상업 영화와 독립영화의 역사적 근원과 발달에 대한 역사적 논의에 이어, 영화 산업론, 영화 내러티브론, 작가론, 장르론, 스타론, 포스트모던 영화론 등 현대 영화의 제반 이론적 논의를 다룬다. |
MAC 639 |
다큐멘터리론 (Documentary Studies) |
3 |
다큐멘터리 이론과 제작실습을 통해 현실을 구성하는 다큐멘터리의 기능과 대안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
MAC 640 |
방송미디어론 (Broadcasting Media Theories) |
3 |
방송을 탐구하는 다양한 이론을 학습하는 개론수업이다. 전통적인 방송에서 인터넷 기반의 현대 방송에서 나타나는 생산자, 콘텐츠, 수용자 특성을 다양하게 살펴보고 그 사회, 문화적 의미를 이해한다. |
MAC 641 |
영상문화콘텐츠비평(Criticism of Visual Culture Contents) |
3 |
다양한 영상문화 현상의 비평과 메타비평을 위한 기초 개념과 이론을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특정한 영상문화 콘텐츠에 대한 비평적 사례연구를 수행한다. |
MAC 645 |
엔터테인먼트와미디어(Entertainment and Media) |
3 |
현대 미디어의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 엔터테인먼트가 미디어에 가지는 의미를 토론하는 세미나 수업이다.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부터 드라마와 같은 다양한 소재들이 다뤄진다. |
MAC 646 |
스포츠와미디어 (Sports and Media) |
3 |
스포츠와 e-스포츠 산업의 콘텐츠, 테크놀로지, 내러티브, 이용자 영역에서 미디어가 매개하고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성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
MAC 647 |
글로벌커뮤니케이션과한류(Global Communication and Hallyu) |
3 |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더해가고 있다. 그 중의 가장 중요한 현상은 한국 콘텐츠의 세계적인 인기, ‘한류’이다. 본 과목에서는 글로벌커뮤니케이션과 한류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토론하는 세미나 수업이다. |
MAC 652 |
영상미디어세미나 (Visual Media Seminar) |
3 |
방송·영상과 관련한 현안들을 연구하는 이론 세미나이다. 각 학기마다 다루는 주제는 다를 수 있다 |
MAC 653 |
엔터테인먼트와미디어세미나(Entertainment Media Seminar) |
3 |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의 관계와 관련한 현안들을 연구하는 이론 세미나이다. 각 학기마다 다루는 주제는 다를 수 있다. |
[ 미디어 데이터 사이언스 ]
MAC 661 |
커뮤니케이션통계분석 I (Statistical Analysis of Communication Data I) |
3 |
데이터 관리와 분석, 기본 통계와 결과보고에 관한 전반적 개요를 제공한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자주 사용하는 통계 분석법에 대해 학습한다. 양적연구 논문을 이해하고,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
---|---|---|---|
MAC 662 |
커뮤니케이션통계분석 II (Statistical Analysis of Communication Data II) |
3 |
중급 수준의 통계 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예를 들면, 조절 또는 매개 변인들을 살펴보는 통계 방법들을 심층 학습을 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다른 통계 분석법들도 학습하고 응용한다. |
MAC 668 |
빅데이터의이해와적용(Understanding of Big-Data & Applications) |
3 |
최근 미래성장동력 분야의 하나로 빅데이터가 국내외에서 각광받고 있는데, 빅데이터에 대한 역사적, 기술적, 산업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논의와 함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다양한 적용과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미디어 빅데이터 중심의 연구를 진행한다. |
MAC 669 |
미디어데이터사이언스(Media Data Science) |
3 |
데이터사이언스의 개념 및 활용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논의를 시작으로 사회과학분야, 특히 미디어 관련 영역에서 데이터사이언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방법론에 대해 이해하고, 데이터사이언스 활용 사례 및 다양한 연구논문을 살펴본다. |
MAC 670 |
미디어애널리틱스프로그래밍 (Media Analytics Programming) |
3 |
데이터사이언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문법을 학습하고, 학생들은 이를 활용하여 웹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실습을 진행한다. (선수과목: 미디어데이터사이언스) |
MAC 675 |
미디어데이터마이닝 (Media Data-Mining) |
3 |
본 강의는 미디어 관련 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위한 다변량 및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소개한다.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분류, 예측, 클러스터링, 데이터시각화 등 다양한 분석기법을 학습함으로써 다변량 및 데이터마이닝을 미디어연구에 적용할 수 있다. |
MAC 682 |
미디어데이터분석세미나(Media Data Analysis Seminar) |
3 |
미디어영역의 다양한 데이터와 관련된 이슈를 심층적으로 토의하고,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빅)데이터를 직접 수집, 분석해서 연구논문을 작성해보는 수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