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학과 내규
미디어학과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학과교육목적(學科敎育目的)
사회과학의 보편적인 지식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전문 지식을 학습함으로써 해당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력과 설명력을 제고한다. 향후 커뮤니케이션 및 관련 분야를 건전하고 활력 있게 이끌어감으로써 국내외 사회에서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산업과 정책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전문인을 배출하는 한편, 국제적인 교육과 연구로 커뮤니케이션 학계를 선도할 수 있는 지식인을 양성하는 것을 대학원 미디어학과의 교육 목적으로 설정한다.
미디어학 학과내규(學科內規)
1. 학점 취득
1) 석사과정 대학원생은 24학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한다. 이 중 3학점 이상을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인접분야에서 수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타과 전공을 수강할 경우 대학원 학과주임의 학점인정원을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2) 박사과정 대학원생은 30학점 이상을 취득하여야 한다. 이중 3학점 이상을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인접분야에서 수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타과 전공을 수강할 경우 대학원 학과주임의 학점인정원을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2. 지도교수 지정과목 및 지도교수 신청
1) 일반대학원에서 미디어학 혹은 유사전공의 석사학위를 취득하지 않은 박사과정 대학원생은 입학 후 첫 두 학기 동안 미디어학과 대학원에 개설된 석사기초공통과목인 커뮤니케이션이론과 연구방법론을 총 6학점까지 지도교수 지정과목으로 이수해야 한다. 지정과목 이수 여부와 학점은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결정한다.
2) 지도교수 지정과목을 모두 이수 완료한 학기의 다음 학기부터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3) 석박사 대학원생은 지도교수 신청시기를 입학후 2학기 시작전까지 정한다 (전기 매년 8월 31일까지; 후기 매년 2월 28일까지).
4) 석박사 대학원생은 지도교수를 복수로도 신청할 수 있다.
3. 논문 게재, 발표 의무 규정
1) 박사과정
(1) 학위논문 계획서(프로포절) 심사 신청 전까지 국제저명학술지(SCI, SCIE, SSCI, A&HCI, SCOPUS, ERI(European Reference Index), PubMed 등재지)나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논문을 단독저자,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서 1편 이상을 포함하여 200%이상 게재하여야 한다. 단, SCI, SCIE, SSCI, A&HCI 등재지 논문 1편은 2편으로 SCOPUS, ERI, PubMed 등재지 논문 1편은 1.5편으로 인정한다. 학술논문의 인정환산율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단독연구: 100%
2. 공동연구의 주저자(교신저자 또는 제1저자): 100%
3. 2인 공동연구: 70%
4. 3인 공동연구: 50%
5. 4인 이상 공동연구: 30%
(2) 학위논문 계획서 심사 신청 전까지 학회가 주관하는 학술대회(포스터 세션 포함)에서 단독저자 혹은 주저자로서 2편의 논문을 발표해야 한다.
*(1)과 (2)의 논문들은 중복될 수 있다. (1)과 (2)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으면 학위논문 계획서 심사 신청을 할 수 없다.
2) 석사과정
학위논문 계획서 심사 신청 전까지 국내전문학술지(연구재단등재)나 해외학술지 혹은 학회가 주관하는 학술대회(포스터 세션 포함)에서 단독저자 혹은 주저자로서 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야 한다.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학위논문 계획서 심사 신청을 할 수 없다.
3) BK를 포함한 외부 연구지원을 받는 석박사학생의 경우는 지원 연구단의 최소연구업적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따른다.
종합시험(綜合試驗) 및 면제조건
1. 박사과정
기초공통(200점)과 전공선택(300점) 2종류로 나누어 시행하고 그 내용과 적용 범위는 아래와 같다.
1) 기초 공통은 [커뮤니케이션 이론 세미나](100점),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세미나](100점), 총 200점으로 하되 해당 과목에서 70점 이상 취득해야 한다.
2) 전공선택은 대학원 미디어학과에 개설된 과목 중에서 3과목(300점)을 선택하며, 각 과목에서 70점 이상 취득해야 한다.
3) 종합시험 기초공통 과목에 합격하지 않으면 학위논문 계획서 심사 신청을 할 수 없다.
*면제조건: SSCI급 해외 논문을 박사학위논문 계획서 신청전까지 게재(게재예정 포함)시 종합시험 전공선택 3과목 면제를 요청할 수 있다.
2. 석사과정
기초공통(200점)과 전공선택(200점)의 2종류로 나누어 시행하고 그 내용과 적용범위는 아래와 같다.
1) 기초공통은 커뮤니케이션 이론(100점),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100점), 총 200점으로 하되 해당 과목에서 70점 이상 취득해야 한다.
2) 전공선택은 대학원 미디어학과에 개설된 과목 중에서 2과목(200점)을 선택하며, 각 과목에서 70점 이상 취득해야 한다.
3) 종합시험 기초공통 과목에 합격하지 않으면 학위논문 계획서 심사 신청을 할 수 없다.
*면제조건: 석사의 경우 국내전문학술지(연구재단등재) 혹은 해외학술지에 논문을 석사학위논문 계획서 신청전까지 게재(게재예정 포함)시 종합시험 전공선택 2과목 면제를 요청할 수 있다.
학위논문(學位論文)
1. 학위논문 계획서 심사 및 발표
1) 학위논문 계획서는 논문심사를 받는 학기에 심사/공개 발표한다. 학위논문 계획서 심사/발표 신청서는 지도교수의 확인(서명)을 받아 논문심사를 받는 학기 직전에 학과에서 정하고 사전에 공지한 마감일까지 제출하여야 한다.
2) 박사과정의 경우, 일반대학원 미디어학과 전임교수 3인 이상(지도교수 포함)으로 구성된 논문계획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논문계획서 심사 신청서와 함께 그 명단을 제출해야 한다. 박사과정의 경우 공개발표는 의무가 아니며 위원회는 논문계획서 심사 신청서 제출 마감일로부터 4주 내에 개별적으로 심사를 진행하며, 심사결과보고서를 대학원 학과주임에게 제출한다.
3) 석사과정의 경우, 일반대학원 미디어학과 전임교수 2인 이상(지도교수 포함)으로 구성된 논문계획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논문계획서 심사/발표 신청서와 함께 그 명단을 제출해야 한다. 공개 발표 후 2주 내에 심사위원회는 개별적으로 심사를 진행하며, 심사결과보고서를 대학원 학과주임에게 제출한다.
4) 석사과정의 경우, 공개발표는 의무이며 발표일은 학과가 매 학기 개강 직후로 결정하여 사전에 공지하며 전기에 졸업하고자 하는 대학원생은 가을 학기 개강 직후, 후기에 졸업하고자 하는 대학원생은 봄 학기 개강 직후 발표해야 한다. 발표하고자 하는 논문을 발표일 1주일 전까지 제출하지 않으면 논문계획서 심사/발표 신청은 자동으로 취소된다.
2. 학위논문 심사 및 제출
1) 학위청구논문 심사 신청 일정과 절차는 일반대학원을 따른다.
2) 논문심사 날짜는 지도교수가 심사위원들과 협의하여 정한다. 논문은 심사 2주 전까지 심사위원들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부 칙 -
1. 본 내규는 2002년 3월 2일부터 시행한다.
2. 본 내규는 2002년 3월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3. 본 내규는 2008년 3월 2일부터 시행한다.
4. 본 내규(논문게재 의무조항과 종합시험관련 조항)는 2009년 9월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5. 본 내규는 2010학년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6. 본 내규는 2013학년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7. 본 내규는 2016학년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8. 본 내규는 2016학년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9. 본 내규는 2018학년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10. 본 내규는 2019학년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11. 본 내규는 2021학년도 전기(3월) 입학생부터 시행한다.
12. 본 내규는 2022학년도 전기(3월) 입학생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