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교수
윤영민
- 직위
- 교수
- 전화번호
- 02-3290-2264
- 연구분야
- 기업 커뮤니케이션, 위기 커뮤니케이션
- 연구실
- 미디어관 407호
- Degree
- 박사
- 이메일
- ymyoon@korea.ac.kr
프로필
-
학부에서는 PR캠페인, PR사례연구, 대학원에서는 위기커뮤니케이션, 내용분석 연구방법론을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시라큐스 대학교(Syracuse University)에서 광고학 석사, 매스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취득 전에는 다국적 커뮤니케이션 컨설팅 기업인 버슨-마스텔라 코리아에서 오랫동안 근무했고, 로레알 코리아에서 프로덕트 매니저 일을 담당하기도 했다. 고려대학교 부임 전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에서 조교수를 지냈다.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장을 역임했고, 고려대학교 교수장학회인 석림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
-
연구 관심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기업 커뮤니케이션, 특히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기업의 위기 책임성에 대한 공중의 인식, 기업의 위기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 반기업 정서, CSR 커뮤니케이션 등 관련 주제를 탐색하면서 한국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둘째 내용분석 방법론의 활용과 가치 확산에 관심을 가지고 방송 콘텐츠, 온라인과 모바일 뉴스, 영화, 애니메이션, 젠더 뉴스, 기업 온라인 뉴스룸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대표 연구실적
-
1. 윤영민(2019). <미디어 내용분석 입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 김지아·윤영민(2019). 여배우의 이중위험: 배우의 성별과 나이에 따른 텔레비전 드라마 배역 차이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방송학보>, 33권 2호, 35-66. (교신저자) 3. 장유미·윤영민(2019). 귀인복잡성과 사후확신편향이 기업 위기에 대한 공중의 책임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3권 4호, 193-229. (교신저자) 4. 윤영민(2014). 기업과 개인의 잘못에 대한 공중의 반응 차이: 정당성 이론의 적용과 반기업 정서 탐색을 위한 실험연구. <홍보학연구>, 18권 2호, 207-247. 5. Yoon, Y., & Lee. Y.(2013). A cross-national analysis of election news coverage of female candidates' bids for presidential no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3(4), 420-427.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