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교수
민 영
- 직위
- 교수
- 전화번호
- 02-3290-2265
- 연구분야
- 정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여론, 미디어 효과
- 연구실
- 미디어관 408호
- Degree
- 박사
- 이메일
- ymin@korea.ac.kr
프로필
-
정치커뮤니케이션, 미디어효과론, 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등을 가르친다. 서울대학교 사범대 지구과학교육과 졸업 후 서울대 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텍사스주립대학에서 저널리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엘론대학(Elon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조교수를 거쳐 2007년 3월에 고려대에 부임했다.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 텍사스주립대학에서 방문학자로 활동했다. 현재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한국언론학회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
-
정치권, 미디어, 시민사회 간의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그 결과를 연구하는 정치커뮤니케이션 학자이며, 특히 시민들의 정치가치, 정치대화, 정치참여에 대한 미디어 효과를 탐색해 왔다. 정치적 의사결정의 심리적 메커니즘에도 관심을 갖고 선거에서 유권자 행동을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새로운 형태의 정치미디어와 저널리즘이 민주주의에 가지는 함의에 주목하고 정치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논문을 다수 출판했다. 한국 사회의 세대 문제에 주목하여 청소년의 정치사회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향후에는 노년층의 정치의식과 정치참여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다.
대표 연구실적
-
1. Min, Y., & McCombs, M. (2016). Agenda setting in American political campaigning. In W. L. Benoit (Ed.), The Praeger handbook of political campaigning in the United States. CA: Praeger. 2. 민영 (2016). 신뢰의 조건: 저널리즘 전문성과 정파적 편향성이 언론 신뢰와 정치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0권 6호, 1127-156. 3. 민영 (2016). 선택적 뉴스 이용: 정파적 선택성과 뉴스 선택성의 원인과 정치적 함의. <한국언론학보>, 60권 2호, 7-34. 4. 민영 (2015). 정치 풍자와 참여적 시민성: 정치 팟캐스트 이용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학보>, 29권 3호, 36-68. 5. Zhang, L., & Min, Y. (2013). Effects of entertainment media framing on support for gay rights in China: Mechanisms of attribution and value framing.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3(3), 248-267. (corresponding author)